IT/Linux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 정리

착한선배 2024. 12. 27. 07:46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은 윈도우즈와 다르다. 윈도우즈는 일반적으로 파티션별로 C:, D:, E: 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을 하지만 리눅스의 경우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리눅스에서 최상위 디렉토리는 /로 표시하고, 그 하위에 /root, /usr, /etc, /boot, /tmp 등으로 구분하며, 각 디렉토리는 파티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렉토리 중 하드디스크와 같은 디바이스 관련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는 /dev 디렉토리 인데, 이 디렉토리를 보면 여러 가지 장치 들이 디바이스 파일로 매칭 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캐릭터 디바이스 파일은 쉘 프로그램잉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디바이스 파일이다

 

표1. /dev 디렉토리 디바이스 장치

디바이스 장치명 의미
/dev/tty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터미널 윈도우 또는 콘솔
/dev/dsp 사운드 카드에 AU 사운드 파일을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dev/fd0 첫 번째 플로피 드라이버
/dev/hda1 IDE 하드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
/dev/sda1 SCSI. S-ATA 하드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

 

리눅수에서 파티션은 /dev/hda1, /dev/hda2와 같은 형식으로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서 여러 개의 파티션을 구성할 수 있으며, IDE 하드 디스크를 명명할 때 /dev/hda, /dev/hdb, /dev/hdc 와 같은 형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SCSI, S-ATA 하드 디스크들은 /dev/sda, /dev/sdb, /dev/sdc 형식으로 사용한다.

 

만약 mount 명령으로 /dev/hda1 파티션을 /backup 디렉토리에 마운트하려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하면 된다.

쉘에서 $ 표시는 일반 유저를 의미하고 # 표시는 수펴 유저를 의미한다. -t 옵션은 파일 시스템 타입을 의미하는데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ext3 타입을 사용한다.

# mount -t ext3 /dev/hda1 /backup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파일 확장자를 알아보자.

파일 확장자명 의미 
.sh 본 쉘, 배시 쉘 스크립트
.txt 일반 텍스트 파일
.log 로그 파일
.html, htm html 정적 웹페이지 소스 파일
.tgz, .tar.gz, .bz2 압축파일
.php, .php3, .php4,  .php5 php 소스 파일
.h, .c, .cc, .cpp c/c++ 소스파일
.py python 소스 파일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쉘 스크립트 기초  (0)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