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재테크] 중개형 ISA 계좌 중도인출시 세금 부과 케이스 5가지 정리

착한선배 2024. 12. 24. 22:30

안녕하세요. 착한 선배 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중개형 ISA 계좌 중도인출 시 세금 부과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SA(Individual Saving Account)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는 '만능 통장'으로 불리며, 특히 세제 혜택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도 인출시 세금 문제로 고민하는 분들이 많아 케이스별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ISA 계좌 기본 특징

먼저 ISA 계좌의 기본적인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의무가입기간 : 3년
  2. 비과세 한도 : 일반형 200만원, 서민형 400만원(2025년 일반형 500만원, 서민형 1000만원 까지 확대)
  3. 초과분에 대한 세율 : 9.9% 분리 과세

케이스 1: 의무가입기간(3년) 이내 중도 인출

의무가입기간인 3년 이내에 중도인출을 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세제혜택을 받을수 없습니다.

 

  • 원금인출 : 원금에 대해서는 별도의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인출한 금액만큼 납입한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 수익금인출 : 의무가입기간 이내에 수익금을 인출하면, 그동안 받았던 세제혜택에 대한 추징이 이루어집니다. 일반 금융소득 과세율인 15.4%가 적용 됩니다. 

예를 들어, 2년 차에 50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고 이를 인출한다면, 500만원 전체에 대해 15.4% 세금인 77만원을 내야 합니다. 

케이스 2: 의무가입기간(3년) 이후 중도 인출

의무가입기간인 3년이 지난 후에는 중도인출 시에도 ISA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한도 이내 수익 인출 : 일반형의 경우 200만원, 서민형의 경우 400만원까지는 세금이 전혀 부과되지 않습니다.

비과세 한도 초과 수익 인출 :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의 분리 과세가 적용 됩니다. 

 

예를 들어, 일반형 ISA에서 4년 차에 500만원에 수익이 발생했고 이를 인출한다면

  1. 200만원은 비과세
  2. 나머지 300만원에 대해서는 9.9%인 29.7만원의 세금만 내면 됩니다. 

케이스 3: 특별 중도해지

다음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의무가입기간 이내라도 중도해지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가입자의 사망 또는 해외이주
  2. 천재지변
  3. 가입자의 퇴직
  4. 사업장의 폐업
  5. 가입자의 3개월 이상 입원 또는 요양이 필요한 상해/질병 발생
  6. 금융회사의 영업정지, 인허가 취소, 해산결의, 파단선고

이러한 경우에는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그동안의 수익에 대해 비과세 및 분리과세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케이스 4: 일부 상품의 중도해지

ISA 계좌 내의 일부 상품만 중도해지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예금, 펀드 등 중도해지 가능 상품 : 이러한 상품들은 개별적으로 중도해지가 가능 합니다. 다만, 의무 가입기간 이내라면 해당 상품의 수익에 대해 일반 과세율이 적용 됩니다.
  • ELS, DLS 등 중도해지 불가 상품 : 이러한 상품들은 개별적인 중도해지가 어려우며, ISA 계좌 전체를 해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케이스 5: 손실 발생 시 중도인출

ISA의 큰 장점 중 하나는 손익통산이 가능하다는 점 입니다.

만약 일부 상품에서 손실이 발생했따면, 이를 다른 상품의 이익과 상계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손실이 발생한 상태에서 중도인출하는 경우, 당연히 과세대상 소득이 없으므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A펀드에서 300만원 이익, B주식에서 200만원 손실이 발생했다면, 순이익 100만원에 대해서만 과세가 이루어 집니다. 

 

주의사항

중도인출시 인출금액만큼 납입한도가 줄어듭니다.

의무가입기간 이내 중도해지 시 과세특례를 적용받은 소득세액에 상당하는 세액이 추징 됩니다.

중도인출은 원금 범위 내에선만 가능하며, 수익금 인출을 위해서는 계좌를 해지해야 합니다.

 

ISA는 분명 매력적인 투자 수단이지만, 중도인출에 따른 세금문제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하면 의무가입기간 3년을 채우고 인출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불가피 하게 중도 인출을 해야 한다면 위의 케이스들을 참고 하여 최적의 선택을 하시가 바랍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그리고 자신에 상황에 맞는 결정을 해야 합니다. ISA를 통해 현명한 투자와 절세 효과를 통시에 누리시길 바랍니다!

반응형